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백엔드 api에서 특정 url을 fetch시 fetch failed 에러가 발생하여 500 Internel Server Error로 error response가 발생하는 이슈가 있었다. 에러 로그를 확인해보면 TypeError: fetch failed와 함께 발생 원인으로 'unsafe legacy renogotiaion disabled' 가 적혀있었다. 해당 에러는 요청 들어온 url을 fetch할 때 해당 url의 보안 관련 SSL이 안전하지않은 레거시 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fetch에 실패시 발생하는 것이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node 버전 16에서는 이 이슈가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프로젝트 node 버전을 16.x에서 18 LTS로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를..
NestJs와 TypeORM을 같이 사용할 때, 대부분 TypeORM에서 기본 제공하는 Repository 구현체에 제네릭으로 해당 레포지토리를 통해 접근하려는 엔티티 클래스를 주입해서 Service 클래스의 생성자에 추가하여 사용하였었다. TypeORM에서 제공하는 해당 방식을 사용하면 Repository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엔티티, 서비스 클래스 만으로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추후 TypeORM에서 다른 라이브러리로의 전환시, 리팩토링 비용이 많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ORM 마다 제공하는 API가 다르기 때문에 interface에 필요한 스펙을 명시해두고, 구현체를 따로 구현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1. 인터페이스 기반 Custom Repository 구현 인터페..
기존에 작업하던 사이드 프로젝트 POC 발표 기간이 별로 남지 않았고, AWS 비용 지원도 나와서 CloudType, Neon 조합으로 무료 플랜을 활용해서 배포해두었던 백엔드 인프라를 AWS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프론트 신규 배포를 진행하였다. 배포하면서 여러 이슈 상황이 있었는데 해당 히스토리를 정리해두었다. AWS 서비스의 경우, 기존에 static 파일 저장 스토리지 용도로 사용하던 S3를 유지한 채, EC2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EC2 인스턴스 유형의 경우, 유효한 트래픽이 없는 상태에서 RDS 서비스를 사용하기에는 비용적으로 팀원들에게 부담이 되므로 DB를 인스턴스 내부에 docker 컨테이너로 띄울 계획으로 vCPU가 2개에 메모리가 2Gib인 t3.small를 사용하였다. DNS의..
블로그를 정리하던 중 과거의 아카이브된 글에서 해당 글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이번에 구현 방식까지 한번에 정리해두려고 한다. [NestJS & React] 유저 동접 방지 구현 유저 동시 접속 방지 기능을 개발이 완료된 서비스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해야될 일이 생겼다. 해당 서비스의 경우, 로그인, 유저 관리를 세션/쿠키 방식이 아닌 JWT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었 eight20.tistory.com 왜 세션/쿠키 방식으로 구현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기존에 이미 JWT로 사용자 인증이 구현되어있는 상황에서 인증 방식의 수정없이 유저의 동시 접속을 막는 것이 요구사항이라 JWT 인증 기반 위에 웹소켓으로 동시 접속 방지를 구현하게되었다. 동시 접속 방지 로직 플로우은 아래와 같다..
개발 2024. 6. 8. 08:20
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백엔드 api에서 특정 url을 fetch시 fetch failed 에러가 발생하여 500 Internel Server Error로 error response가 발생하는 이슈가 있었다. 에러 로그를 확인해보면 TypeError: fetch failed와 함께 발생 원인으로 'unsafe legacy renogotiaion disabled' 가 적혀있었다. 해당 에러는 요청 들어온 url을 fetch할 때 해당 url의 보안 관련 SSL이 안전하지않은 레거시 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fetch에 실패시 발생하는 것이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node 버전 16에서는 이 이슈가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프로젝트 node 버전을 16.x에서 18 LTS로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를..
개발/NestJS 2023. 11. 22. 08:20
NestJs와 TypeORM을 같이 사용할 때, 대부분 TypeORM에서 기본 제공하는 Repository 구현체에 제네릭으로 해당 레포지토리를 통해 접근하려는 엔티티 클래스를 주입해서 Service 클래스의 생성자에 추가하여 사용하였었다. TypeORM에서 제공하는 해당 방식을 사용하면 Repository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엔티티, 서비스 클래스 만으로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추후 TypeORM에서 다른 라이브러리로의 전환시, 리팩토링 비용이 많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ORM 마다 제공하는 API가 다르기 때문에 interface에 필요한 스펙을 명시해두고, 구현체를 따로 구현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1. 인터페이스 기반 Custom Repository 구현 인터페..
프로젝트 회고 2023. 11. 9. 08:20
기존에 작업하던 사이드 프로젝트 POC 발표 기간이 별로 남지 않았고, AWS 비용 지원도 나와서 CloudType, Neon 조합으로 무료 플랜을 활용해서 배포해두었던 백엔드 인프라를 AWS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프론트 신규 배포를 진행하였다. 배포하면서 여러 이슈 상황이 있었는데 해당 히스토리를 정리해두었다. AWS 서비스의 경우, 기존에 static 파일 저장 스토리지 용도로 사용하던 S3를 유지한 채, EC2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EC2 인스턴스 유형의 경우, 유효한 트래픽이 없는 상태에서 RDS 서비스를 사용하기에는 비용적으로 팀원들에게 부담이 되므로 DB를 인스턴스 내부에 docker 컨테이너로 띄울 계획으로 vCPU가 2개에 메모리가 2Gib인 t3.small를 사용하였다. DNS의..
개발/NestJS 2023. 8. 12. 08:20
블로그를 정리하던 중 과거의 아카이브된 글에서 해당 글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이번에 구현 방식까지 한번에 정리해두려고 한다. [NestJS & React] 유저 동접 방지 구현 유저 동시 접속 방지 기능을 개발이 완료된 서비스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해야될 일이 생겼다. 해당 서비스의 경우, 로그인, 유저 관리를 세션/쿠키 방식이 아닌 JWT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었 eight20.tistory.com 왜 세션/쿠키 방식으로 구현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기존에 이미 JWT로 사용자 인증이 구현되어있는 상황에서 인증 방식의 수정없이 유저의 동시 접속을 막는 것이 요구사항이라 JWT 인증 기반 위에 웹소켓으로 동시 접속 방지를 구현하게되었다. 동시 접속 방지 로직 플로우은 아래와 같다..